카이제곱에 대한 설명에 들어가기 앞서, 자유도에 대해 먼저 간략히 설명해 보겠다.자유도 Degree of Freedom자유도는 주어진 통계 모델에서 독립적으로 변동할 수 있는 변수의 개수다.이는 역설적으로 통계 모델에서 오는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개념이다.다시 말해, 자유도란 모델 내에서 제약 조건에서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나타낸다. 예를 들어, 확률 변수 X1, X2에 대해서, X1+X2=1 이라는 제약 조건이 있을 때,라는 통계량을 구하는 상황에서, 하나의 확률변수만 알아도, 나머지 하나는 값이 정해지기 때문에, 두 확률 변수를 모두 알 필요는 없다.그러므로 이 상황에서의 자유도는 2 - 1, 1이 된다. 보통 자유도는 관찰 (혹은 정보)의 수에서 추정된 매개변수의..